본문 바로가기
지속가능경영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SO) 란

by 잔세폴 2018. 8. 11.
반응형

국제표준화기구(ISO)란 어떤 단체일까요?

단체명에서 드러나듯이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표준를 정의하고 정립하는 기구입니다.

구체적으로 국제표준화기구(ISO)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죠.

 


국제표준화기구(ISO)의 설립 배경


 

1946년 전 세계 25개국 대표들이 영국 런던에 모여 국제협력산업표준의 중요성을 논의하였고, 산업표준이 다르면 국제교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점에 모두 공통된 의견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합의를 바탕으로 1947년 2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표준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기구인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출범하게 됩니다. 



국제표준화기구(ISO) 필요성 및 목적


국가 간의 장벽이 사라지며 무역을 통해 세계 각국이 자유롭게 재화와 용역을 교환하는 시대입니다이에 따라 국가 간 활발하고 원활한 교역을 위해 국제표준이 제정될 필요성이 대두되었죠국제적 표준의 가이드라인을 제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설립된 것입니다각 국가의 제품에 적용되는 품질 기준을 동일하게 하여 품질에 대한 신뢰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죠

 

제품의 질이나 안정성상호호환성 등이 규격에 잘 맞지 않으면 제품을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있을 뿐 아니라 위험한 경우도 있기 때문에 국제표준화기구(ISO)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국제표준화기구(ISO)의 정관 2조에는 상품 및 서비스의 국제적 교환을 촉진하고 지적, 과학적, 경제적 활동 분야에서의 협력증진을 위하여 세계의 표준화 및 관련활동의 발전을 촉진시키는데 있다“ 라고 설립 목적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 표준 및 관련 활동의 세계적인 조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조치를 취함
  • 국제표준을 개발발간하며이 표준들이 세계적으로 사용되도록 조치를 취
  • 회원기관 및 기술위원회의 작업에 관한 정보의 교환을 주선함
  • 관련 문제에 관심을 갖는 다른 국제기구와 협력하고특히 이들이 요청하는 경우 표준화 사업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타 국제기구와 협력함 


회원국 가입 현황



<국제표준화기구(ISO) 회원국 및 권한>


국제표준화기구(ISO)는 한 국가에서 가장 대표적인 표준기관인 하나의 기관만을 회원 자격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1963년 6월 공업진흥청이 대표기관으로 가입하여 현재는 국가기술표준원이 대표기관의 임무를 맡고 있습니다. 회원은 정회원, 준회원, 간행물 구독회원으로 구분되는데, 정회원은 국제표준화기구(ISO) 절차규정에 의거하여 입회가 허용된 국가표준기관입니다. 정회원은 아니지만 표준화에 관심이 있는 국가 기관의 경우 투표권 없이 준회원 또는 간행물 구독회원으로 등록하여 활동할 수 있습니다. 20179월 기준으로 163개국이 국제표준화기구(ISO)에 가입하여 활동중입니다. 회원기관의 경우 매년 분담금을 납부하게 되는데, 연속 3회 분담금을 납부하지 않으면 회원자격을 박탈당하게 됩니다.

반응형

댓글